본문 바로가기

2025년 3월 1주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 분석

집값요정 2025. 3. 11.
반응형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 분석

부동산뱅크의 조사에 따르면, 2025년 3월 1주 전국 아파트 가격은 0.1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을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수도권 및 일부 지방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서울 0.46% 상승, 수도권 0.22% 상승, 5대 광역시는 -0.14% 하락, 도 전체 -0.09% 하락을 기록하며 지역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1.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가격 동향

서울 아파트 가격 변화

서울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며, 특히 송파구(2.88%), 서초구(0.77%), 종로구(0.76%), 강남구(0.54%) 등 강남권과 주요 중심지의 상승폭이 컸습니다. 반면, 양천구(-0.64%), 성동구(-0.37%), 중랑구(-0.31%) 등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 분석

🔹 상승 지역

  • 송파구 +2.88%
  • 서초구 +0.77%
  • 종로구 +0.76%
  • 강남구 +0.54%
  • 중구 +0.30%
  • 서대문구 +0.29%
  • 성북구 +0.22%
  • 영등포구 +0.20%

🔹 하락 지역

  • 양천구 -0.64%
  • 성동구 -0.37%
  • 중랑구 -0.31%
  • 관악구 -0.07%
  • 금천구 -0.03%
  • 노원구 -0.02%
  • 강동구 -0.01%

🔹 재건축 아파트 가격 변화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 분석

재건축 시장에서도 서초구(2.24%), 강남구(1.28%), 송파구(1.05%) 등 강남권이 강세를 보였고, 양천구(-1.16%), 관악구(-0.47%) 등은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경기도 및 인천 아파트 가격 변화

경기도 아파트 가격은 지역별로 차별화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안성시(0.11%), 하남시(0.10%) 등이 상승했지만, 동두천시(-1.98%), 광주시(-0.75%), 광명시(-0.35%) 등이 하락했습니다.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 분석

🔹 상승 지역

  • 안성시 +0.11%
  • 하남시 +0.10%
  • 용인시 +0.06%
  • 시흥시 +0.02%

🔹 하락 지역

  • 동두천시 -1.98%
  • 광주시 -0.75%
  • 광명시 -0.35%
  • 과천시 -0.31%
  • 양주시 -0.28%

인천시는 서구(0.48%), **부평구(0.16%)**가 상승세를 보였지만, **강화군(-2.71%)**을 비롯한 일부 지역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2. 신도시 아파트 가격 변화

1기 신도시에서는 **분당(0.01%)**만 소폭 상승하고, 일산(-0.13%), 중동(-0.09%), **산본(-0.06%)**은 하락했습니다. 2기 신도시는 판교(0.08%) 상승, 위례(-0.66%)김포한강(-0.02%) 하락을 보이며 지역별 편차가 있었습니다.


3. 5대 광역시 및 도 지역 아파트 가격 동향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 분석

5대 광역시는 부산(-0.31%), 대구(-0.05%), 광주(-0.03%), **대전(-0.03%)**이 하락하였으며, 울산은 변동이 없었습니다.

🔹 부산

  • 해운대구 +0.06%, 남구 +0.04% 상승
  • 금정구 -1.68%, 동래구 -1.30%, 강서구 -0.56% 등 하락

🔹 대구

  • 동구 +0.24%, 중구 +0.05%, 달성군 +0.01% 상승
  • 수성구 -0.18%, 서구 -0.08%, 달서구 -0.07% 하락

🔹 광주

  • 북구 +0.02%, 광산구 +0.01% 상승
  • 남구 -0.23% 하락

🔹 대전

  • 동구 -0.18%, 서구 -0.03% 하락

🔹 울산

  • 모든 지역 변동 없음

4. 지방 신도시 및 도 지역 아파트 가격 변화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 분석

지방 신도시는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양산(-0.55%), 대전 도안(-0.25%), 부산 정관(-0.06%) 등 주요 신도시에서 하락이 두드러졌습니다.

도 지역에서는 경상남도(-0.25%), 강원도(-0.08%), 전라북도(-0.05%) 등 대부분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개별 지역으로는 고성군(0.38%), 증평군(0.36%), 경주시(0.35%) 등이 상승한 반면, 거제시(-1.34%), 통영시(-1.30%), 양산시(-0.74%) 등이 하락했습니다.


5. 부동산 시장 전망

 

이번 주 서울을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이 상승했 으나, 수도권 일부 지역과 지방 시장에서는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강남3구(강남, 서초, 송파)와 주요 인기 지역은 여전히 강세를 보이지만, 일부 외곽 지역과 신도시는 조정 국면을 보이고 있습니다.

향후 시장 전망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1. 금리 인하 기대감 – 이로 인해 서울과 주요 수도권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정부 부동산 정책 – 규제 완화 여부가 시장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3. 지역별 수요 차이 – 강남권 및 일부 인기 지역은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으며, 공급 과잉 지역은 추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결론

2025년 3월 1주 전국 아파트 가격은 상승세를 보였으나, 지역별 편차가 크게 나타났습니다.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한 반면, 수도권 일부 지역 및 5대 광역시, 도 지역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금리 정책과 정부의 부동산 규제 변화에 따라 시장 흐름이 변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