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합부동산세, 얼마나 낼까? 과세표준과 세율 총정리!

집값요정 2025. 4. 14.
반응형

종합부동산세 과세표준과 세율

“올해 종합부동산세 얼마나 나올까?”
매년 말만 되면 부동산 커뮤니티에서 가장 핫한 이슈 중 하나가 바로 ‘종부세’입니다.

한 채만 갖고 있어도 비싼 아파트 때문에 종부세 대상이 되는 경우가 점점 늘고 있는데요,
정확한 과세표준과 세율을 알고 있어야 대비도 가능하겠죠?
오늘은 제가 직접 종합부동산세의 핵심 개념부터 2025년 적용되는 세율 및 계산 방식까지 정리해드릴게요!


🏠 종합부동산세란?

먼저 간단하게 짚고 넘어갈게요.

**종합부동산세(이하 종부세)**는 말 그대로 ‘부동산 자산이 많은 사람’에게 부과하는 세금이에요.
과세 대상은 일정 기준 금액을 초과하는 부동산 보유자로, 보유세 중 하나입니다.

✔️ 과세 대상 부동산

  • 주택 (1세대 1주택자, 다주택자 모두 포함)
  • 종합합산토지 (나대지, 잡종지 등)
  • 별도합산토지 (상업용 건물 부속토지 등)

👉 부동산의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한다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


📊 종합부동산세 과세표준 계산 방법

종부세는 단순히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되는 게 아닙니다.
여러 단계의 공제와 공정시장가액비율 적용을 거쳐 과세표준이 산출돼요.

✅ 1단계: 공시가격 확인

국토교통부에서 매년 4월 발표하는 공시가격을 확인합니다.

✅ 2단계: 기본공제 적용

  • 1세대 1주택자: 12억 원 공제
  • 그 외(다주택자, 법인): 6억 원 공제

👉 예시) 1세대 1주택자가 공시가격 15억 원 아파트를 보유한 경우
→ 과세표준 대상 금액: 15억 - 12억 = 3억 원

✅ 3단계: 공정시장가액비율 적용

  • 2025년 기준: 80% 적용
    (정부 방침에 따라 매년 조정될 수 있음)

👉 아까 예시에서 3억 원의 80% = 2.4억 원 → 최종 과세표준


💰 종합부동산세 세율 (2025년 기준)

종부세는 누진세 구조를 따르며, 보유 유형과 금액에 따라 세율이 달라져요.

🔹 1세대 1주택자

과세표준 / 구간세율

 

0~3억 원 0.5%
3~6억 원 0.7%
6~12억 원 1.0%
12~25억 원 1.3%
25~50억 원 1.5%
50억 원 초과 2.0%

👉 고령자 또는 장기보유(5년 이상)일 경우 세액공제 가능 (최대 80%까지)

🔹 다주택자 및 법인

2022년 세제 개편 이후, 중과세율이 완화되었지만 여전히 1주택자보다 높습니다.

과세표준 / 구간세율

 

0~3억 원 0.6%
3~6억 원 0.9%
6~12억 원 1.2%
12~25억 원 1.6%
25~50억 원 2.0%
50억 원 초과 2.7%

👉 법인은 1주택자 규정 적용 불가, 무조건 일반세율 혹은 중과세율 적용


📌 종부세 계산 예시

사례 1️⃣ – 1세대 1주택자, 공시가격 20억 아파트

  • 기본공제: 12억 → 과세표준: 8억
  • 공정시장가액비율 80% → 6.4억
  • 적용 세율: 구간별 누진합산 → 약 390만 원 수준

사례 2️⃣ – 다주택자, 보유주택 공시가격 합계 25억

  • 기본공제: 6억 → 과세표준: 19억
  • 공정시장가액비율 80% → 15.2억
  • 적용 세율: 누진 적용 → 약 1,500만 원 내외

📎 종합부동산세 절세 꿀팁!

  1. 1세대 1주택자 요건을 잘 갖춰야 유리해요.
  2. 고령자·장기보유 세액공제 적극 활용하기
  3. 부부 공동명의로 공시가격 분산도 방법!
  4. 세금 부담 크다면 임대사업자 등록, 매도 검토도 고려해볼 만해요.

✨ 마무리하며

요즘처럼 집 한 채만 있어도 종부세 걱정해야 하는 시대,
세율과 과세표준 구조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불필요한 세금도 줄일 수 있습니다.

부동산 자산이 있다면, 지금이라도 공시가격을 체크해보시고
올해 종부세 얼마나 나올지 시뮬레이션해보는 거 추천드려요 😊

앞으로도 실생활에 꼭 필요한 부동산 세금 정보, 꾸준히 업데이트할게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이나 메시지 주세요 💬

반응형

댓글